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흑백 TV 시대의 종말… 한국 컬러 방송 시작은 바로 이 날이었다!

by ChansPickMemory 2025. 5. 6.
반응형

한국은 언제 흑백 TV에서 컬러 TV로 넘어갔을까?


한국의 텔레비전 역사는 단순한 기술 발전을 넘어, 사회와 문화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흑백 TV의 보급과 컬러 TV 도입은 시대의 상징이자, 생활 방식의 전환점이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한국에서 흑백 TV가 어떻게 시작되었고, 컬러 TV는 언제 어떻게 등장했는지를 상세히 살펴봅니다.
또한 당시 사회 분위기와 정책, 대중 반응까지 아울러 조명해봅니다.


흑백 TV의 첫 전파: 1956년, 방송의 시작

한국의 TV 역사는 1956년 HLKZ-TV라는 실험 방송으로 시작됐습니다.
이 방송국은 국내 첫 민간 방송국으로, 서울 중심 일부 지역만 시청 가능했지만
TV라는 매체가 처음으로 대중 앞에 등장한 순간이었습니다.

그 후 1961년에는 KBS(한국방송공사)가 본격적인 정규 방송을 시작하며
흑백 TV가 점차 가정으로 퍼지기 시작했습니다.


1970년대 초반, 컬러 TV 개발은 이미 진행 중

한국에서 컬러 TV는 1970년대 초부터 기술적으로 개발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정부는 컬러 방송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이유는 경제 개발 우선 정책과 기술 유출 우려 때문이었습니다.
1972년에는 일부 컬러 TV 세트가 수출되기 시작했지만
국내에서는 여전히 흑백 방송만 가능했습니다.


드디어 공개된 컬러 방송: 1980년 공식 허용

1980년 12월 1일, 드디어 대한민국에서도 컬러 방송이 정식으로 시작됐습니다.
이 시점부터는 TV 방송국들이 컬러 전환을 진행했고
가정에서는 컬러 TV를 구입하려는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그 이전에도 시험 방송 수준의 컬러 방송은 일부 있었지만
이날부터 전국적으로 정규 컬러 방송이 시작된 것입니다.


컬러 TV의 확산: 1980년대 중반 이후 급격히 증가

초기 컬러 TV는 고가였기 때문에 보급률은 낮았지만
1980년대 중반부터 가전업계의 경쟁과 가격 하락으로 보급이 빨라졌습니다.
서울올림픽(1988년)을 계기로 컬러 방송 수요는 정점을 찍게 되었고,
1990년대에 들어서는 컬러 TV가 흑백 TV를 완전히 대체했습니다.


당시 사회의 반응: 새로운 세상의 창

컬러 TV는 단순한 화면 변화 이상의 의미를 가졌습니다.
사람들은 "TV 속 인물이 실제보다 더 화려하다"며 놀라워했고
텔레비전이 가정의 중심 매체로 자리 잡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또한 정치·경제 뉴스뿐 아니라 예능, 드라마, 스포츠까지
다양한 콘텐츠 소비가 증가하며 문화산업 전반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시대를 반영한 광고: “이제는 컬러 시대!”

당시 컬러 TV 관련 광고 문구 중 기억에 남는 것은
"흑백 세상에서 벗어나라", "이제는 컬러 시대!" 같은 문장이었습니다.
이는 단순히 제품 판매를 넘어 시대의 흐름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표현이기도 했습니다.

컬러 TV는 곧 현대화, 고급화, 첨단 기술의 상징이었기 때문입니다.


흑백에서 컬러로, TV 기술의 타임라인

연도사건상세 내용
1956 첫 흑백 방송 HLKZ-TV, 국내 최초 민간 방송 시작
1961 KBS 개국 정규 방송 시작, 흑백 TV 확산 계기
1972 컬러 TV 수출 국내 생산, 해외 수출만 허용
1980 컬러 방송 시작 12월 1일, 전국 컬러 정규 방송 개시
1988 서울올림픽 컬러 TV 수요 폭발, 전국적 보급 가속화
 

한 가족의 이야기로 보는 컬러 TV의 첫날

1980년 겨울, 서울 은평구의 한 가정.
가족 모두가 저녁 7시 뉴스 시간에 맞춰 새로 산 컬러 TV 앞에 모였다.
화면에 처음 비친 컬러 앵커의 넥타이를 본 아버지는 "이게 정말 TV냐"며 감탄했고
어머니는 "밥 다 태웠다!"고 외쳤다.

그날 저녁, 그 집에서는 TV가 단순한 가전제품을 넘어 가족의 화제가 되었고,
하나의 상징이자 자부심
이 되었다.


흑백과 컬러가 교차했던 한국 TV 역사, 당신의 기억은 어떤가요?

 

 

 

반응형